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 방법 및 지급 대상 총정리 2025

by 모멘토크 2025. 3. 19.

    [ 목차 ]

출산을 앞둔 근로자에게 중요한 지원 제도 중 하나가 출산전후휴가급여입니다. 경제적 부담을 덜고 출산 후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제도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출산전후휴가급여의 지급 대상, 신청 방법, 지급액 계산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출산전후휴가급여란?

출산전후휴가급여는 근로자가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는 동안 경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급하는 급여입니다. 고용보장제도에 가입한 근로자가 법적으로 보장된 출산전후휴가(90일 또는 120일)를 사용하는 경우 지급됩니다.

 

 

 출산전후휴가란?

  • 출산 전 45일 + 출산 후 45일 = 총 90일
  • 다태아(쌍둥이 이상) 출산 시 120일
  • 유산 및 사산 시 임신 주수에 따라 차등 적용

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1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2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3

출산전후휴가급여 지급 대상

고용보장제도법에 따라 아래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는 출산전후휴가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지급 대상 조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한 고용보장제도 가입 근로자

출산전후휴가 시작일 이전 180일 이상 고용보장제도에 가입한 경우

출산전후휴가 기간 동안 고용관계가 유지되는 경우

🚨 주의사항

자영업자는 출산전후휴가급여 대상이 아닙니다.

고용보장제도에 가입하지 않은 특수형태근로종사자도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자영업자 출산급여라는 별도 제도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출산전후휴가급여 지급액

출산전후휴가급여는 평균 임금에 따라 결정되며, 다음과 같이 지급됩니다.

 

 

 지급 기준

  • 출산전후휴가 90일(다태아의 경우 120일) 동안 통상임금의 100% 지급
  • 상한액: 월 220만 원(최대 660만 원 지급)
  • 하한액: 월 70만 원(최대 210만 원 지급)
  • 최초 60일분(다태아의 경우 75일분)은 고용보험에서 지급하며, 나머지는 사업주 부담

📌 예시

월급 300만 원인 근로자가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경우

지급액: 월 220만 원 × 3개월 = 총 660만 원 지급

 

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4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5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6

 출산전후휴가급여 지급일

출산전후휴가급여는 신청 후 약 14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다만, 서류 미비나 심사 지연이 발생할 경우 추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 방법

출산전후휴가급여는 고용보험 사이트 또는 가까운 고용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시기

출산전후휴가가 끝난 날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 가능

휴가를 나눠 사용한 경우 각각 신청 가능

 

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7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8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9

 준비 서류

출산전후휴가 확인서 (사업주 발급)

임금대장 또는 근로계약서 (통상임금 확인용)

출생증명서 (출산 후 신청 시 필요)

본인 명의 통장 사본

 

[별지 제107호서식] (출산전후휴가¸ 유산ㆍ사산휴가)확인서.hwp
0.06MB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고용24 홈페이지 → 개인서비스 →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

2️⃣ 오프라인 신청: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후 서류 제출

 

출산전후휴가 온라인 신청하러가기

출산전후휴가급여, 근로여성의 소중한 권리입니다

출산전후휴가급여는 출산을 앞둔 근로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고용보장제도 가입 여부 및 가입 기간을 미리 확인하고, 출산 후 빠른 시일 내에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출산 후 급여 지급일을 고려해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10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11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12

 

출산을 준비하고 계신다면, 이번 글을 참고하여 미리 출산전후휴가급여를 준비해 보세요! 😊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하기

 

주요 내용을 정리하자면:

  • 출산전후휴가는 90일(쌍둥이는 120일)이며, 출산 후 최소 45일은 보장됩니다.
  • 우선지원대상기업 근로자는 전체 기간 동안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고용보장제도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휴가 사용과 복귀 시 근로자의 권리를 보장해야 합니다.

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13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142025 출산전후휴가급여 15

 

출산전후휴가급여에 관한 자세한 정보나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고용24 홈페이지를 통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고용24 홈페이지에 문의하기

 

출산전후휴가급여 Q&A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 방법 및 지급 대상 총정리 2025 FAQ

 

❓ 계약직 근로자도 출산전후휴가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단, 출산전후휴가 시작일 기준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하며, 계약이 출산전후휴가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합니다.

 

❓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하지 않으면 급여를 받을 수 없나요?
👉 네. 반드시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해야 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출산 후에도 회사가 급여를 지급하면 출산전후휴가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다만, 회사에서 지급하는 금액이 고용보험 지급액을 초과할 경우, 초과 금액만큼 공제될 수 있습니다.